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인상됐습니다.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다양한 복지 서비스의 수급 기준이 되는 ‘기준 중위소득’이 얼마나 인상됐고, 이에 따라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아래 내용에서 정리해 드립니다!
2026년 생계급여를 받고 싶다면?
지금 기준 중위소득이 얼마인지 모르면, 자격 여부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복지제도 수급의 시작은 기준 중위소득 확인부터입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가운데 있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 중위소득은 정부가 각종 복지 제도의 수급 자격을 결정하는 기준선으로 사용되며,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를 비롯해 국민취업제도, 국가장학금, 아이돌봄서비스, 예술활동준비금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됩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월 6,494,738원으로 결정되며, 이는 전년 대비 6.51% 오른 수치입니다.
특히, 1인 가구는 2,392,013원 → 2,564,238원(7.20% 인상)으로 인상되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확대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이 올라가면?
기준 중위소득이 올라가면?
더 많은 국민이 생계급여, 의료급여 등 복지제도 대상자로 포함됩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총정리 (가구원 수별)
가구원 수 | 2025년 기준 | 2026년 기준 | 인상률 |
---|---|---|---|
1인 | 2,392,013원 | 2,564,238원 | +7.20% |
2인 | 3,932,658원 | 4,199,292원 | +6.78% |
3인 | 5,025,353원 | 5,359,036원 | +6.63% |
4인 | 6,097,773원 | 6,494,738원 | +6.51% |
5인 | 7,108,192원 | 7,556,719원 | +6.30% |
6인 | 8,064,805원 | 8,555,952원 | +6.08% |
중위소득이 인상되면 복지제도 신청 대상도 늘어납니다. 달라진 기준에 따라 나에게도 새로운 기회가 생겼을 수 있습니다.
복지급여별 수급 기준은 어떻게 변했을까?
기준 중위소득이 인상됨에 따라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의 수급 기준도 모두 상향 조정됐습니다. 다만, 급여별 수급 기준 비율(32%, 40%, 48%, 50%)은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구분 | 2026년 수급기준 (1인 가구) | 전년 대비 인상폭 |
---|---|---|
생계급여 | 820,556원 | +55,112원 |
의료급여 | 1,025,695원 | +68,890원 |
주거급여 | 1,230,834원 | +82,668원 |
교육급여 | 1,282,119원 | +86,112원 |
생계급여 수급 기준 확대, 4만명 추가 수급 예상
2026년 생계급여 수급자는 전년 대비 약 4만 명 증가할 것으로 정부는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준 중위소득 인상 외에도 제도개선을 병행했기 때문입니다.
주요 제도 개선 사항
- 청년 근로·사업소득 공제 확대
- 현행: 29세 이하, ‘40만 원 + 30%’ 공제
- 2026년: 34세 이하, ‘60만 원 + 30%’로 확대 - 자동차재산 기준 완화
- 승합·화물차 허용 범위 확대 (1,000cc → 500만 원 미만) - 다자녀 기준 완화
- 기존: 3자녀 → 변경: 2자녀 이상 가구도 혜택
예시: 월 100만 원 소득이 있는 30세 청년 → 기존 생계급여 6만 원 → 개선 후 54만 원 수급 가능!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도 함께 개선
- 의료급여: 본인부담금 외 전액 지원 유지 (외래 365회 초과 시 30% 본인부담)
- 항정신병 장기주사제 본인부담률 5% → 2% 인하
- 주거급여: 기준 임대료 1.7~3.9만 원 인상ㄱ
- 교육급여: 교육활동지원비 평균 6% 인상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혜택을 받는 사람들
이번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소득이 경계선에 있던 취약계층이 새롭게 복지 수급 자격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 사례 1: 청년 1인 가구
- 29세 직장인 A씨, 월 소득 130만 원
- 작년엔 탈락 → 올해 생계급여 + 의료급여 동시 수급 - 사례 2: 맞벌이 4인 가구
- 월 소득 420만 원
- 주거급여 및 교육급여 수급 가능 - 사례 3: 프리랜서 예술가
- 기존 제외 대상 → 2026년 예술활동준비금 300만 원 수혜 - 사례 4: 은퇴한 독거노인
- 연금 외 수입 無 → 생계급여 + 의료급여 지원
자주 묻는 질문 Q&A
- Q1. 기준 중위소득이 오르면 좋은 건가요?
- A. 네. 수급 기준이 완화되어 더 많은 사람이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Q2. 꼭 기초생활수급자가 되어야 하나요?
- A. 아닙니다. 중위소득은 국민취업제도, 장학금 등 다양한 제도 기준으로도 쓰입니다.
- Q3. 나도 복지 대상자인지 어디서 확인하나요?
- A. 복지로 또는 정부 24에서 모의 계산 가능!
- Q4. 청년은 뭐가 달라지나요?
- A. 34세 이하의 경우 근로소득 공제가 확대되어 생계급여 수급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 Q5. 자산이 많아도 받을 수 있나요?
- A. 일정 자산 기준은 있지만, 자동차 기준·채무 공제 등 완화되고 있습니다.
결론
기준 중위소득 상승, 복지의 문턱을 낮추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은 단순한 숫자의 변화가 아닙니다. 복지 수급 자격의 변화, 새로운 수급 대상의 확대, 청년층 및 다자녀 가구에 대한 실질적인 혜택 강화로 이어지며, 더 많은 국민에게 복지제도의 사각지대를 줄이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지금 바로,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혜택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특히 소득이 적거나 자산이 낮은 가구는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수급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